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6강. 의문사가 있는 의문문.

일단 의문사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품사와 그 중 동사의 이해가 중요합니다. 품사라 하면 단어가 가지고 있는 성격에 따라 분류해 놓은 것입니다.

 

8가지 품사 중 동사는 "동작이나 상태를 서술하는 말"이고요. 필수 요건이 "동작, 상태, 서술"입니다. 서술이란 우리말로 "~하다"정도로 문장을 완성시키는 것이지요.예를 들어, go는 "가다"라는 뜻으로 동사지만 going은 "가는 것", "가고 있는" 등으로 동명사 내지는 현재분사라 하여 동사가 아닌 것입니다.

 

동사를 개관한 것은 동사가 바로 의문문을 만드는 핵심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동사는 그 기능에 따라 1. be동사 2. 조동사 3. 일반동사 로 나눌 수 있습니다.이 분류에 따라 의문문을 만드는 방법이 결정됩니다.

 

1. be동사 : '~이다, ~에 있다' 정도의 의미를 갖고 있고 am, are, is 등이 그 예입니다.be동사는 원래 문장(평서문)에서 의문문으로 바꿀 때, 주어와 동사의 위치를 바꾸면 되지요.

 

You are a student. (너는 학생이다.) 이 문장을 의문문으로 하면

Are you a student? (너는 학생이니?)이렇게 되지요?

당연히 대답은 그래 아니면 아닌데 정도가 되겠죠?Yes, I am. 또는 No, I'm not.가 대답이 되겠고요.

 

2. 조동사 : 조동사는 동사를 도와 무언가 특별한 문법기능을 하거나 특별한 의미를 더하여주는 동사들을 말합니다. 이 부분은 나중에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예를 들어 <능력이나 허가를 의미하는 can>, <미래를 나타내는 will>. <강하거나 약한 추측을 나타내는 may> 등이 그 예가 되겠죠. 조동사도 역시 조동사랑 주어의 위치를 바꾸면 의문문으로 바뀝니다.

 

<평서문> You make a box.(너는 상자를 만든다.)

이 문장에서 만들 수 있다(즉, 가능의 의미를 더하고 싶으면 make를 돕고 가능의 의미를 가지고 있는 can을 쓰면 됩니다.

<조동사 평서문> You can make a box. (너는 상자를 만들 수 있다.)

<조동사 의문문> Can you make a box? (너는 상자를 만들 수 있니?)

대답은 당연히 그래 만들 수 있어 또는, 아니 못 만드는데 정도가 되겠죠?

Yes, I can. 또는 No, I can't. 정도가 되겠네요.

 

3. 일반동사 : 위에 나온 be동사랑 조동사를 제외한 나머지 동사입니다.뭐 eat, study, go, see, hear 등 너무너무 많지요?문제는 이 동사들은 힘이 없어서 혼자서 의문문을 만들 수가 없어요.

 

앞에서 be동사와 조동사는 위치만 바꾸면 의문문을 만들 수 있었지만 일반동사는 의문문을 만들기 위해서는 <의문문을 만들어주는 조동사인 Do동사>를 빌려야 합니다.

 

그리고 빌려온 Do를 평서문의 젤 앞에다 놓아주면 됩니다. 여기서 주의해야하는 점은 주어가 3인칭 단수이고 시제가 현재일 때, 왜 동사에다 s나 es를 붙이잖아요, 의문문에서는 does를 쓰고, 조동사 뒤니깐 일반동사의 s나 es는 빼줘야죠.

 

예를 들어보면.

<일반동사 평서문1> You work at a bank. (넌 은행에서 일한다.)

<일반동사 의문문1> Do you work at a bank? (너 은행에서 일하니?)어때요 쉽죠?

 

자 이제 주어가 3인칭 단수인 경우를 볼께요.

<일반동사 평서문2> He studies English. (그는 영어 공부를 한다.)

<일반동사 의문문2> Does he study English? (그는 영어 공부를 하니?)

 

자 여기선 일단 주어가 3인칭 단수인 he고 시제가 현재이므로 원래 study에다 es를 붙여 studies로 써는데 의문문으로 가면 Does가 문장 젤 앞에 가고, study는 다시 원래 모양으로 돌아 오는게 중요하죠?여기서 나온 일반동사의 의문문 두 가지의 대답은 물론 Yes나 No로 할 수 있습니다. Yes, I do./ No, I don't. 랑 밑에 문장은 Yes, he does./ No, he doesn't.가 대답이죠.자 여기까지가 5강까지 배운 내용이고요. 이제 의문사에 대해서 해볼까요?

 

<의문사>는 대표적으로 6가지 있습니다.

Who - 누가, When - 언제, Where - 어디서, What - 무엇을, Why - 왜, How - 어떻게이 6가지만 지금 아시면 충분하죠. Whom은 나중에 하셔도 충분합니다.

 

자 <의문사의 원칙 >을 정리해드리죠.

1. 평서문이 아닌 의문문 '가장 앞에' 붙여 쓸 수 있다.

2. 의문사가 쓰이면 그 해당하는 대답은 문장에서 지워야한다.

3. 의문사가 쓰인 문장의 대답으로 Yes/No는 쓰지 못한다.

 

자 그럼 하나씩 보겠습니다.

1.번 규칙을 보면 의문문에 붙여 쓸 수 있다고 하죠? 그럼 저기 위에 있는 조동사의 의문문을 다시 생각해 보지요.

아까 Can you make a box?였죠? 여기다 의문사를 첨가해 볼께요.

 

1. Who

Who can you make a box? 가 되는데 물론 틀린 문장이죠. 왜 그렇죠? 2번 규칙에 위배되지요. Who에 대한 대답인 you가 들어있으므로 이렇게 써야죠.

Who can make a box? (누가 상자를 만들 수 있니?)

 

2. When

When can you make a box?

(언제 넌 상자를 만들 수 있니?) ==> 잘 되었지요?

 

 

 

 

 

3. Where

Where can you make a box? (어디서 넌 상자를 만들 수 있니?) ==> 맞습니다.

 

4. What

What can you make a box? ==>역시 틀렸지요?

What에 대한 대답인 Box가 글 속에 있잖아요. ('무엇을 넌 상자를 만들 수 있니'가 아니죠? '무엇을'이나 '상자를' 둘 중 하나를 빼야죠.)

 

자 이제 답이 뭔지 아시겠어요?What can you make? (넌 무엇을 만들 수 있니?) 가 되겠죠

 

5. Why

Why는 그 의미를 생각해보세요. '왜'라는 뜻인데 원래 문장에다 넣으면 "넌 왜 상자를 만들 수 있니?'가 되지요? 근데 이상하죠? can때문에 말이 이상해지는 거에요.

우리가 만들고 싶은 문장은 "왜 넌 상자를 만드니?"가 되겠죠? 그래서 "~할 수 있다"라는 뜻의 can을 단순한 의문을 나타내는 do로 바꿔줘야 해요.

 

좀 헷갈리죠?

Why can you make a box? ==>뜻이 어색하죠?

Why do you make a box?==> 훨씬 자연스럽지요?

 

6. How를 넣어보죠.

How can you make a box? (넌 어떻게 상자를 만드니?)==> 맞지요?

의문사는 일단 의문문의 가장 앞에 붙여 써서 의미를 첨가해주는 역할을 하지요? 따라서 의미가 첨가되었으니 그 의문사의 답에 해당하는 단어를 생략해주어야 문장이 자연스러워지고요, 대답하는 방법을 소홀히 다뤘지만 굉장히 중요한 부분이에요.

 

방금 위에서 의문사를 붙인 의문문 6개에 대한 대답을 한 번 보면

1. XX can. ( XX가 할 수 있어요.) 누가 할 수 있냐 물었으니 당연히 사람을

2. On sundays, After dinner 등등 시간을 써주시면 되지요.

3. Home, At school. 등 장소를 써주시면 되지요. Where로 물어봤으니

4. 만들 수 있는 물건 이름이 답이 되겠죠?

5. Because ~~( ~하기 때문이야) 정도의 의미.

6. 만드는 방법을 자세히 설명해야 답이죠?

결론은 이렇게 의문사까지 붙은 의문문에 대한 대답은 Yes나 No로 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하위에서상위권으로

2011.02.06 03:25:42

잘 보겠습니다

윈즈

2013.04.26 11:52:28

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sort 날짜

서론: 수능 어법문제의 특징 [1]

수능 어법문제의 특징 2004년 12월에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출판된 대학수학능력시험 출제 매뉴얼을 보면 -------------------------------------------------------------- 문법 문항은 수험생의 문법성 판단력을 측정하는 문항 유형으로 유형의 특징 및 ...

faq like와 alike의 구별 [2]

  • Chanyi
  • 조회 수 3733
  • 2008-03-19

The twins look(like, alike). Which team looks(like, alike) winning? What is your father(like, alike)? like 는 ~처럼이라는 전치사, 좋아하다(3형식동사) 로 크게 사용됩니다. alike 는 비슷한 이라는 형용사 로 사용됩니다. 이 형용사는 서술만 하고 ...

수능 기본어법문제 정리 [6]

  • chanyi
  • 조회 수 3698
  • 2009-06-20

01_수의_일치.hwp 02_시제와_가정법.hwp 03_수동태.hwp 04_주의할_동사표현.hwp 05_조동사.hwp 06_정동사와_준동사.hwp 07_준동사_기타.hwp 08_병렬구조.hwp 09_접속사.hwp 10_관계대명사.hwp 11_형용사와_부사[1].hwp 12_대명사.hwp

faq be worth + 동명사 [1]

  • chanyi
  • 조회 수 3686
  • 2007-05-12

1. 'be worth + 동명사'는 '~할 만한 가치가 있다'라는 뜻이다. 2. 동명사 부분은 형태상 능동태이지만 주어와는 '동사 - 목적어' 관계, 즉 수동의 관계가 성립한다. 수동의 의미를 갖는다고 하여 동명사를 수동태로 쓰지 않는다. 또한 동명사대신 부정사를 ...

일반 명언활용 영문법 지도자료(비교표현)-ppt. file [2]

  • chanyi
  • 조회 수 3680
  • 2011-04-29

문법 지도 자료는 영어 명언을 활용하여 문법과 영작을 지도할 수 있는 자료입니다. 항목별로 구체적인 지도 절차와 활용할 수 있는 명언을 제시한 방대한 자료입니다. PPT 자료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2003년도 한국교육과정평가원 교수학습개발센터 주최 &ls...

faq live 와 alive의 차이점은? [1]

  • chanyi
  • 조회 수 3663
  • 2008-05-29

live는 명사 앞에 위치해서 명사를 수식하고, alive는 보어로 쓰입니다. live의 의미는 '살아있는', '생방송의' 의 두 가지가 가장 대표적이죠. 단 '생방송의'라는 뜻으로 쓰일 때는 명사 앞에 올 수도, 보어로 쓰일 수도 있습니다. 즉, live가 보어로 쓰인 ...

faq 헷갈리는 전치사 (to)

  • Chanyi
  • 조회 수 3649
  • 2010-02-21

Q) which way should I go? 에는 to가 안 붙고, which floor should I go to? 에는 왜 to가 붙나요? 차이점이 무엇인가요? A) go 뒤에 to가 붙는가, 안 붙는가를 결정하는 것은 바로 go 다음에 오는 단어의 품사입니다. 즉, go 뒤에 부사가 오면 전치사 to를 ...

faq would, used to의 차이점 [2]

  • chanyi
  • 조회 수 3555
  • 2007-05-04

would는 과거의 불규칙적인 습관이며, used to는 과거의 규칙적인 습관이다는 바르지 않은 구분법입니다. 즉, Would나 used to 모두 Habitual past 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Understanding and Using English Grammar ( Longman3판 , Prentice hall2판) 예...

일반 중3 문법 파트별 연습문제모음 file [4]

  • chanyi
  • 조회 수 3545
  • 2013-05-27

1.문장의 원리와 문장의 종류.hwp 2.동사.hwp 3.시제.hwp 4.조동사.hwp 5.준동사와 수동태.hwp 6.명사와 관사, 대명사.hwp 7.형용사, 부사, 비교.hwp 8.접속사와 절, 전치사.hwp 9.관계사.hwp 10.가정법.hwp 11.화법, 일치, 병렬, 도치, 강조, 문장부호.hwp

Little Fox 알기쉬운 영문법 [1]

  • chanyi
  • 조회 수 3540
  • 2008-11-17

영어에는 어떤 규칙이 있을까요? 출처: 리틀팍스 알기쉬운영문법 No Title 1 a book / an apple, two books (a/an, 명사의 단수/복수) 2 I am, You are, He is ... (be동사의 현재) 3 I work. (일반동사의 현재) 4 can, will, could, would, should, must, ma...

일반 그때 그때 다르게 쓰이는 would [1]

would는 그때그때 다릅니다. (1) 과거에 했던 행동을 나타내기 위해서 사용합니다. I would take care of my little brother when my parents went out in the evenings. (나는 부모님이 저녁에 외출할 때는 어린 동생을 돌보곤 했다.) 이 would는 어떠한 일이...

faq marry 와 get married 의 차이는? [1]

  • chanyi
  • 조회 수 3391
  • 2006-02-20

marry 와 get married 의 차이는? 왜 marry라는 동사가 있음에도 get married가 "결혼식을 하다"라는 의미로 더 많이 쓰일까요? get 을 한번 사전에서 찾아보면 get의 의미를 수십 개 정도는 거뜬하게 찾을 수 있지요.그런데 그 가운데 가장 기본이 되는 의미...

일반 중학교 영어 문법 시제, 부정사 문제 file [2]

  • chanyi
  • 조회 수 3361
  • 2014-08-18

중학교 영어 문법 시제, 부정사 문제 7차_중3영어_문법_2.시제_총정리_문제(해설포함).hwp 7차_중3영어_문법_6.부정사_총정리_문제(해설포함).hwp

일반 영문법1400제 file [16]

  • chanyi
  • 조회 수 3341
  • 2012-12-13

영문법1400제 영문법 1400제.hwp

faq add와 add to의 차이 [1]

  • Chanyi
  • 조회 수 3319
  • 2009-11-06

add가 자동사로 쓰여서 전치사 to를 동반하고 목적어를 쓰는 경우와, add가 타동사로 쓰여서 (전치사 없이) 직접 목적어를 취하는 경우에 약간의 미묘한 의미(뉘앙스)의 차이가 있습니다. [add to + 명사(A)]가 쓰이는 예문은: The lake adds to the beauty o...

조동사 could의 쓰임새, 그 때 그 때 달라요~ [1]

자, 여러분, 모두 준비되셨죠? 그럼 출발하겠습니다~! 조동사 could, 과연 이 동사가 지닌 가장 기본적인 의미는 무엇일까요? 네, 맞습니다. 조동사 could의 기본적인 의미는 ‘~를 할 수 있었다’라고 볼 수 있습니다. could를 정말 단순하게 can(~를 할 수 있...

faq 기본동사정리 (lay / lie) file [1]

  • chanyi
  • 조회 수 3290
  • 2005-08-19

*^^*

faq proof & evidence 차이 [2]

  • chanyi
  • 조회 수 3280
  • 2008-06-24

* proof 1.evidence, especially conclusive evidence, that something is true or a fact. ---> 확실한, 단정적 증거 There is no proof that he is guilty. * evidence 1.information, etc that gives grounds for belief; that which points to, reveals or...

일반 영어문법문제 과제용 [2]

  • chanyi
  • 조회 수 3274
  • 2011-08-03

영어문법문제 과제 제 1회.hwp 영어문법문제 과제 제 2회.hwp 영어문법문제 과제 제 3회.hwp 영어문법문제 과제 제 4회.hwp 영어문법문제 과제 제 5회.hwp 영어문법문제 과제 제 6회.hwp 영어문법문제 과제 제 7회.hwp 영어문법문제 과제 제 8회.hwp 영어문법...

faq that과 what의 구별 [2]

  • chanyi
  • 조회 수 3218
  • 2006-05-08

Q) 1. (that / what) he said so is true 2. (that / what) I want now is a cup of tea 왜 1번은 that 이 되고 2번은 what이 되는지 알려주세요ㅠㅠ 둘다 명사절을 이끄는 것 아닌가요? 그런데 관계사중 what이 유일하게 명사절을 이끈다고 하는데 그럼 이때...

본 사이트에서는 회원분들의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합니다. 게시된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자에게 있습니다. 이메일:chanyi@hanmail.net Copyright © 2001 - 2022 EnjoyEnglish.co.kr. All Right Reserved.
커뮤니티학생의방교사의 방일반영어진로와 진학영어회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