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rise raise arise의 차이

faq 조회 수 4059 추천 수 0 2007.11.01 10:36:08
rise - rose - risen(오르다, 상승하다, 기상하다)
Generally, if something rises it moves upwards. If you rise, this is a rather formal way of saying that you get of out bed, get up or stand up:(일반적으로 어떤것이 rise한다고 할때 그것은 위로 움직이는것이며, 당신이 rise한다면 이것은 다소 formal한 말로 당신이 기상하거나 일어서는 것입니다.)

I needed to catch the 7.30, so I had risen early.
He rose to greet me when I entered his office.
When the sun and the moon rise, they appear in the sky.
The wind rose later in the night and kept me awake as it howled through the trees.

arise - arose - arisen(~일, 사건)일어나다, 발생하다.
arise is mainly used in a more abstract way. If a situation or problem or something arises, it comes into being and people become aware of it:(arise는 주로 추상적인 상식으로 사용되는데 만약  상황이나 문제, 또는 어떤것이 arise한다면 그것이 존재하게되고 사람이 그것을 알게될때 입니다.)

I don't think the question of compensation will arise, but if it does, just give a vague reply.
I shall certainly go to Scotland next year, if the opportunity arises.
A problem has arisen with the TV that I bought last week. I can't get teletext.

raise - raised - raised(~을 올리다, ~을 모금하다, ~을 기르다)
If you raise something, you move it to a higher position. If you raise your voice, you speak more loudly. If you raise the standard of something, you improve it:(당신이 어떤것을 raise한다고 하면 당시이 그것을 더 높은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입니다. 당신이 어떤것의 기준을 raise한다면 그것을 향상시킨다는 것입니다.(

If you are in agreement with what Mr Jenkins has put to you, would you please raise your hand.
The flag on the roof of the palace is raised whenever the queen is in residence.
Amy was sitting at the back and had to raise her voice in order to be heard.

요약하여 설명하면 "rise" 실제 사물이 자동적으로 오를 때 쓰고, “arise"는  추상적인 것이 오를 때(일어날 때) 쓴다는 사실입니다. 그리고 "raise"는 타동사적으로 쓰여서 뒤에 항상 목적어를 동반하고요.
profile
엮인글 :

윈즈

2013.05.21 00:07:18

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sort

기초영문법 기초영문법 3강. be동사와 인칭대명사 file [1]

  • chanyi
  • 조회 수 7195
  • 2009-11-21

기초영문법 3강. be동사와 인칭대명사.hwp 인칭대명사표(2015).hwp 인칭대명사와 be동사 1. 인칭대명사와 be동사 인칭대명사에는 3가지의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즉 인칭: 사람을 지칭한다(가리킨다 or 나타낸다) 대: 대신한다. 명사: 명사를 의미한다. 이러...

기초영문법 기초영문법 4강. be동사의 의문문과 부정문 [1]

  • Chanyi
  • 조회 수 5092
  • 2009-11-22

기초영문법 4강. be동사의 의문문과 부정문.hwp 1. be동사의 의문문 의문문이란 ~ 은 ... 이니? 라고 묻는 문장으로 be 동사를 주어 앞에 씁니다. we are students. 라는 문장이 있을 때에, we 와 are의 위치를 바꾸어 주면, Are we students?라는 의문문이 ...

기초영문법 기초영문법 5강. 일반동사 [2]

  • chanyi
  • 조회 수 4751
  • 2009-11-26

기초영문법5강. 일반동사.hwp 5강. 일반동사 영어에서 동사는 크게 (1)Be 동사, (2)일반동사, (3)조동사 세 종류로 나눌 수 있습니다. Be 동사는 앞강에서 배웠고, 이번에는 일반동사에 대해 알아보고, 조동사에 대해서는 다음에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일반...

기초영문법 기초영문법 6강. 의문사가 있는 의문문 [2]

  • Chanyi
  • 조회 수 5614
  • 2009-11-28

기초영문법 6강. 의문사가 있는 의문문.hwp 6강. 의문사가 있는 의문문. 일단 의문사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품사와 그 중 동사의 이해가 중요합니다. 품사라 하면 단어가 가지고 있는 성격에 따라 분류해 놓은 것입니다. 8가지 품사 중 동사는 "동작이나 상태...

기초영문법 기초영문법 7강. 간접의문문 [5]

  • Chanyi
  • 조회 수 6159
  • 2009-12-05

기초영문법_7강._간접의문문.hwp 1. 직접의문문 : 『의문사 + 동사 + 주어』 형태 → 직접의문문. 2. 간접의문문 : 직접의문문이 다른 문장의 종속절이 되면,『의문사 + 주어 + 동사』의 형태로 되어 명사절(구)이 된다. 즉 평서문처럼 주어와 동사의 순서가 ...

일반 that과 It의 용법 [1]

  • Chanyi
  • 조회 수 6143
  • 2010-01-14

that 과 it.hwp ☑ that Ⅰ. 지시형용사 --------------- 1 Ⅱ. 지시대명사 --------------2, 3, 4 Ⅲ. 지시부사 -------------- 5 Ⅳ. 접속사 -----------6, 7, 8, 9, 10 Ⅴ. 관계대명사 ----------- 11 ⅤⅠ가주어, 가목적어-----------8 ⅤⅡ관계부사 대용의 that---...

faq 헷갈리는 전치사 (to)

  • Chanyi
  • 조회 수 3644
  • 2010-02-21

Q) which way should I go? 에는 to가 안 붙고, which floor should I go to? 에는 왜 to가 붙나요? 차이점이 무엇인가요? A) go 뒤에 to가 붙는가, 안 붙는가를 결정하는 것은 바로 go 다음에 오는 단어의 품사입니다. 즉, go 뒤에 부사가 오면 전치사 to를 ...

faq will 과 be going to의 차이 [6]

  • Chanyi
  • 조회 수 5737
  • 2010-02-21

1. will will이 처음부터 '미래'의 의미를 나타내는 조동사로 쓰였던 것은 아닙니다. 고대 영어에서는 will의 조상인 'willan'이 동사로 쓰이고 있었습니다. 'willan'은 want, wish, desire 등의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즉, '원하다, 희망하다, 바라다' 의 동...

일반 관계형용사- which [1]

  • Chanyi
  • 조회 수 4595
  • 2010-03-19

관계형용사 which 【요점정리】 ․ which나 what 다음에 명사가 와서 which나 what이 명사를 수식할 때 이러한 which나 what를 관계형용사라 한다. ․ which + 명사에 쓰인 which는 앞에 comma( , )를 찍어 계속적 용법으로 쓰이며, 이때 which는 앞 문장의 내용...

일반 유사보어 file [1]

  • chanyi
  • 조회 수 5455
  • 2010-03-23

유사보어란? 보어가 없어도 문장이 구성되는 데도 문장의 압축으로 보어형태를 가지는 것입니다. Q. The dog burned dead. 에서 유사보어는 dead인데 해석은 그개가 불타서 죽었다. 인데 이 문장의 동사처럼 해석되고 있다. @ The dog burned dead.은 이문장...

faq whatever vs no matter what 차이 [4]

  • Chanyi
  • 조회 수 8573
  • 2010-04-22

whatever 는 품사가 한정사/대명사라 기본적으로 명사절을 만듭니다. Help yourself to whatever you want. The children were allowed to do whatever they liked. He'll be ready to accept whatever help he can get. I am willing to pay whatever price y...

faq determine to V vs be determined to V [1]

  • Chanyi
  • 조회 수 8190
  • 2010-05-04

determine 타동사 determine to do something formal to decide to do something(~할 것을 결정하다.) ex. He determined to leave at once. (그는 당장 떠날것을 결정했다.) determined 형용사 determined to do something She was determined to win. (그녀...

faq 별난 종속접속사 in that [1]

  • Chanyi
  • 조회 수 29019
  • 2010-06-01

별난 종속접속사 in that 부사절을 이끄는 종속접속사는 일반적으로 시간, 조건, 이유, 양보의 의미를 갖는 when, as soon as, until, if, whether, because, since, as, although, even though, even if등이 있습니다. 하나 추가한다면 목적, 결과 등을 나타...

faq enjough 용법 file [1]

  • Chanyi
  • 조회 수 3866
  • 2010-07-03

 enough의 용법 ⑴ enough(충분한)가 형용사로서 명사를 수식하는 경우 명사의 앞뒤 어디나 위치할 수 있다. 그러나 명사 앞에 놓여서 뒤에 있는 명사를 수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I have enough money to buy that house. ⑵ enough(충분히)가 부사로서 형용...

일반 수능기출어법 유형별정리(1994-2010) file [23]

  • Chanyi
  • 조회 수 5948
  • 2010-07-04

수능기출어법목차(유형별정리).hwp 수능기출어법(유형별정리).hwp 수능어법기출문제총출동완벽자료.hwp for_2011_어법최종정리_up_student.hwp for_2011_어법최종정리_up.hwp

일반 수능독해필수문법 file [12]

  • chanyi
  • 조회 수 4350
  • 2010-07-04

수능독해필수문법.hwp 출처: 영덕고등학교

faq in the distance & at a distance [1]

  • Chanyi
  • 조회 수 3148
  • 2010-08-04

그 여행자는 멀리서 불빛을 보았다. (a) The traveller saw a light in the distance. (b) The traveller saw a light at a distance. 설명: at a distance는 '거리를 두고'를 뜻한다. Oil paintings look to advantage at a distance.(유화는 거리를 두고 보...

기초영문법 기초영문법 정리 file [12]

  • chanyi
  • 조회 수 9193
  • 2010-08-06

읽으면서 배우는 기본 영문법정리 기초영문법.hwp

faq 목적어 + 전치사 + the 신체부위 [1]

  • Chanyi
  • 조회 수 4634
  • 2010-08-31

신체부위에 어떠한 동작을 가할 때 쓰는 표현법을 알아봅시다. [그가 나를 쳤다.] 라고 할 때는 [He hit me.]라고 하지만, [그가 나의 머리를 쳤다.]처럼 어떤 신체 부위를 표현하고자 할 경우에는 He hit my head.라 하지 않고 [He hit me on my head.]라고 ...

faq be known to (for, as, by) 구분 [1]

  • Chanyi
  • 조회 수 33485
  • 2010-10-24

be known to : ~ 에게 알려지다 (알려지는 대상, 보통 사람) He is known to everybody. 그는 모두에게 알려져 있다 (그를 모르는 사람은 없다) The technology was known to the general public. 그 기술은 세상에 알려졌다. <주의> be known to 명사(사람) :...

본 사이트에서는 회원분들의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합니다. 게시된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자에게 있습니다. 이메일:chanyi@hanmail.net Copyright © 2001 - 2022 EnjoyEnglish.co.kr. All Right Reserved.
커뮤니티학생의방교사의 방일반영어진로와 진학영어회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