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Jespersen과 McCawley의 정리내용을 토대로 전남대학교 영문학과 이환묵 교수님께서
지으신 신영어학총서 8권 영어통사론 (한국문화사) 책의 내용을 옮겨 적습니다
.

---------------------------------------------------------------------------

 독립관계사와 의문사는 그것을 포함한 동사의 의미나 통사적 기능을 가지고 구별할 수 있다.
Jespersen(A Modern English Grammar Part 3, 1927:)은 what을 독립관계사라 하지 않고 관계대명사라고 하고 있지만,

what 절을 포함한 상위문의 동사가 의문, 불확실, 호기심을 아타내는 동사이면 what은 의문대명사이고, 상위문의 동사가 서술, 지각, 기억 등을 나타내는 동사이면 what은 관계대명사라고 의미에 근거하여 구별하고 있다.
그러므로 예문 a)에서처럼 what이 화자나 청자가 모르는 것을 나타내면 의문대명사이고,
예문 b)에서처럼 화자나 청자가 알면서도 그것을 구체적으로 나타내지 않으면 관계대명사이다.

a. He asked me what she said.
   I want to know what your name is.
   I wonder what he said.
b. I know what your name is.
   I still remember what he said to me.
   This is what I mean.

6) what은 긍정문에서는 관계사 즉, 관계대명사 내지 독립관계사이고, 부정문에서는 의문사로 인식된다.
위에서 언급한 Jesperen의 구별방법을 따르면, 이러한 법주의 변화는 알거나 기억한 것을 부정하면 모르거나 기억할 수 없기 때문에 긍정문에서는 관계사이고 부정문에서는 의문사로 바뀐다고 말할 수 있다.

a. I know what your name is. (관계사)
b. I don't know what your name is. (의문사)
c. I remember what you said to me yesterday. (관계사)
d. I cannot remember what you said to me yesterday. (의문사)

7) Jespersen의 위와 같은 구별은 명령문에는 적용할 수 없다.
긍정명령문 a)의 what은 청자가 알고 있다고 전제하고, 물어보는 화자는 모르는 경우에 보통 쓰이는 명령/요청문이다.
그렇다면 a)의 what은 의문사인가 관계사인가? 그리고 부정명령문인 b)에서는 청자나 화자가 모두 what의 내용을 알고 쓰는 명령문이다. 따라서 부정명령문의 what은 관계사라고 말할 수 있지만, 긍정명령문의 what은 의문사와 관계사의 구별이 화자의 입장에서 보느냐 청자의 입장에서 보느냐에 따라 그 범주가 달라진다.

a. Tell me what you bought.
b. Don't tell others what you bought.

8) 관계사와 의문사를 구별하기 위하여, McCawley(The Syntactic Phenomena of English, 1998: 455)는
what절이 절을 취하는 동사의 목적어이면 what은 의문사이고,
절이 아닌 명사구를 취하는 동사이면 what이 관계사라는 동사의 하위범주에 의한 방법을 들고 있다.


I'll ask what he is selling. (의문사)
I'll buy what he is selling. (독립관계사)

9) McCawley의 이러한 방법은 다음 예문에서처럼 절을 목적어로 취하는 동사라도 그것이 긍정이나 부정이냐에 따라 wh 낱말을 의문사나 독립관계사로 보아야 할 경우에는 변별력이 없어진다.

I can tell you what his name is. (독립관계사)
I cannot tell you what his name is. (의문사)

10) 다음 예문 a)에서 what은 의문대명사나 관계대명사의 두 가지해석이 모두 가능하다.
모르기 때문에 말할 수 없는 경우도 있지만 알아도 말못할 사정이 있어서 말할 수 없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화자는 그의 이름이 무엇인지 모른다는 사실이나 안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 화자는 말을 할 때 이러한 사실을 강세의 차이로써 청자에게 알린다. 화자는 그의 이름을 모르면 what에 강세를 두어 말하고, 그의 이름을 알면 what에 강세를 주지 않고 말한다.
따라서 b)에서처럼 what에 강세가 있으면 의문대명사이고, 예문 c)에서처럼 강세가 없으면 관계대명사이다. (Jespersen 1927)

a. I cannot tell you what his name is. (관계사/의문사)
b. I cannot tell you whAt his name is. (의문사)
c. I cannot tell you what his name is. (관계사)

profile
엮인글 :

윈즈

2013.04.29 10:10:09

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sort

일반 현재완료(펌) file [1]

  • chanyi
  • 조회 수 8927
  • 2002-04-09

● 현재완료를 이해하는 문장 우리말의 " 봄이 왔다"를 영어로는 다음 두 가지로 표현합니다. (a) Spring has come. (b) Spring came. (a)는 "봄이 와서 지금 현재 봄이다"라는 의미의 문장이며 (b)는 "(과거에) 봄이 왔다 "라는 뜻이며 지금은 봄인지 아닌지 ...

기초영문법 부정사 file [1]

  • chanyi
  • 조회 수 7811
  • 2002-05-23

부정사 1학년 모 학생이 물었다. I like to play baseball. 이 문장의 to는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냐고.... 황당했다. 여기서 to는 boy가 소년으로 해석되는 것처럼 어떤 특정의 뜻을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라 문장 안에서 다른 역할을 하고 문장마다 다르게 ...

일반 분사(펌) file [1]

  • chanyi
  • 조회 수 6077
  • 2002-10-22

분사라는 넘 알아보기 분사가_도대체_무엇일까요.hwp

8품사 file [1]

《8품사》 ※ 아무도 영어 단어가 몇 개인지, 영어 문장이 몇 개나 되는지 알 수 없다. 하지만 무수한 생물을 체계적으로 분류할 수 있듯이, 문법학자들은 영어의 단어와 문장을 몇 개의 유형으로 나누어 놓았다. 영문법의 시작은 이렇게 분류된 단어와 문장으...

수능어법연습 215제(펌) & 수능기출어법정리 file [1]

어법예상215제.hwp 수능기출어법정리.hwp

조동사 could의 쓰임새, 그 때 그 때 달라요~ [1]

자, 여러분, 모두 준비되셨죠? 그럼 출발하겠습니다~! 조동사 could, 과연 이 동사가 지닌 가장 기본적인 의미는 무엇일까요? 네, 맞습니다. 조동사 could의 기본적인 의미는 ‘~를 할 수 있었다’라고 볼 수 있습니다. could를 정말 단순하게 can(~를 할 수 있...

일반 그때 그때 다르게 쓰이는 would [1]

would는 그때그때 다릅니다. (1) 과거에 했던 행동을 나타내기 위해서 사용합니다. I would take care of my little brother when my parents went out in the evenings. (나는 부모님이 저녁에 외출할 때는 어린 동생을 돌보곤 했다.) 이 would는 어떠한 일이...

faq happiness 와 being happy 또는 to be happy의 차이?

  • chanyi
  • 조회 수 4290
  • 2005-08-19

예를 들어 happiness라는 명사형이 분명히 있음에도 불구하고 동명사형인 being happy 또는 to 부정사형으로 to be happy라고 써주는 이유는 뭘까요? 꼭 그래야 할 필요가 없다면 하나 가지고 써야 더 간단할 텐데. 동명사나 to부정사는 동사에서 시작되었지요...

faq 기본동사정리 (lay / lie) file [1]

  • chanyi
  • 조회 수 3289
  • 2005-08-19

*^^*

faq affect와 effect [1]

  • chanyi
  • 조회 수 2915
  • 2005-08-19

affect 는 나쁜 효과, 결과를 직접적으로 일으키는 경우를 말합니다. Cares affect the health. 근심은 건강에 해롭다. The rise in price affects the living of people. 물가상승은 사람들의 생활에 영향을 미친다. Cold weather affected everybody's work....

서론: 수능 어법문제의 특징 [1]

수능 어법문제의 특징 2004년 12월에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출판된 대학수학능력시험 출제 매뉴얼을 보면 -------------------------------------------------------------- 문법 문항은 수험생의 문법성 판단력을 측정하는 문항 유형으로 유형의 특징 및 ...

faq marry 와 get married 의 차이는? [1]

  • chanyi
  • 조회 수 3382
  • 2006-02-20

marry 와 get married 의 차이는? 왜 marry라는 동사가 있음에도 get married가 "결혼식을 하다"라는 의미로 더 많이 쓰일까요? get 을 한번 사전에서 찾아보면 get의 의미를 수십 개 정도는 거뜬하게 찾을 수 있지요.그런데 그 가운데 가장 기본이 되는 의미...

faq Be to 용법과 부정사 보어역할의 be to file [1]

  • chanyi
  • 조회 수 4628
  • 2006-02-20

a: His dream is to go to Hollywood. b: He is to go to Hollywood. 위 글에서 a:는 부정사가 명사로서 보어 역할을 하며 b:는 형용사로서 보어 역할을 하는 <be to> 용법이다. 구별하는 방법 주어=보어(His dream = to go to Hollywood)의 관계가 성립하면 ...

faq it ... that 강조 용법 [2]

  • chanyi
  • 조회 수 16817
  • 2006-03-22

(1) 강조될 수 있는 요소 주어, 목적어, 일부전치사구, 일부전치사의 목적어, 이유, 장소, 시간 등을 나타내는 부사는 강조될 수 있다. ※ 아래 문장의 (a), (b), (c), (d)는 강조될 수 있다 • John succeeded his father to the presidency last year. (a) (b)...

faq if any와 if ever의 구별 file [1]

  • chanyi
  • 조회 수 3830
  • 2006-03-26

if any와 if ever의 구별 ▶ 부정의 수량 형용사 + if any, 명사구문: 비록 (~가) 있다 하더라도 거의 없다. ex) There are few, if any, misprints in her book. (거의 없다, 있다 하더라도, 오자가/ 그녀의 책에는) ▶ 부정의 빈도 부사 + if ever, 동사구문:...

faq other, others, another [1]

  • chanyi
  • 조회 수 7190
  • 2006-03-27

other, others, another 요게 공부할때 참 헷갈리기 쉬운부분입니다. 먼저 other과 others 는 생긴 것은 비슷하나 사용되는 곳이 좀 다릅니다. 일단 others 와 another을 비교해 드릴께요. others와 another 은 others(복수의 개념 - 다른 것들), another(단수...

faq effective vs efficient file [1]

  • chanyi
  • 조회 수 2021
  • 2006-04-04

▶ effective: 효과적인, 효력이 있는, 유효한 ▶ efficient: 효율적인, 능률적인, 유능한 이렇게만 설명해 드리면 여전히 아리송하겠지요? 좀더 보충설명을 드리자면... ▶ effective는 '효과나 효력을 보여주거나 지닌'이라는 의미입니다. 이에 반해, ▶ effecti...

준동사 file [1]

준 동 사 (부정사, 동명사, 분사) ‘사랑하다’라는 동사가 있습니다. 이 말이 얼마나 다양하게 변화하는지 볼까요. ‘사랑하는것, 사랑하고 있는, 사랑하기 위해, 사랑받는 우리말에서는 자다라는 동사가 다양한 형태로 쓰이지요. 그러나 부정사(to+동사 ), 동...

faq between과 among [1]

  • chanyi
  • 조회 수 2405
  • 2006-04-07

between과 among ① 분명히 떨어져 있는 사람이나 사물 사이에 있는 것을 말할 때는 between을 쓰고 사람이나 사물이 그룹지어 있거나 덩어리로 뭉쳐 있어 서로 분리 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없을 때는 among을 '- 중의 하나'라는 의미로 쓴다. She was standin...

faq at first 와 first [1]

  • chanyi
  • 조회 수 2584
  • 2006-04-07

at first 와 first ① 처음에는 어떻게 되었고 나중에는 어떻게 되었다는 식으로 대조를 나타낼 때 at first를 쓴다. 이 경우 나중의 경우는 접속사 but을 주로 동반한다. At first they were very happy, but then things started going wrong. The work was h...

본 사이트에서는 회원분들의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합니다. 게시된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자에게 있습니다. 이메일:chanyi@hanmail.net Copyright © 2001 - 2022 EnjoyEnglish.co.kr. All Right Reserved.
커뮤니티학생의방교사의 방일반영어진로와 진학영어회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