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2 장. 빈 칸 채우기
‘주제 찾기’ 유형에 이어 두 번째로 비중이 큰 수능 문제 유형이다.
▶ 빈 칸은 거의 대부분의 경우 ‘마지막 문장’에 온다
   ‘빈 칸 채우기’ 29문제 중에 24문제에서 빈 칸은 마지막 문장에 있었다.

▶ ‘빈 칸 채우기’는 ‘주제 찾기’

지문의 전반적인 이해 여부를 출제자가 알고 싶을 때 “주제가 뭐야?” ..요지 찾아볼래?.. 제목 붙여봐?“ 같은 문제를 내고 여기에서 그치지 않고 포장만 다르게 빈 칸 채우기 문제를 낸다.
● 두괄식 구조 - 주제문을 먼저 준다. 그리고 주제문의 자식 문장 중 하나에 빈 칸을 만들고 채우라고 한다.
● 미괄식 구조 - 지문 마지막에 오는 주제문에 빈 칸을 만들고 채우는 문제이다.

‘빈 칸 채우기’는 빈 칸이 있는 문장만 봐선 안 된다. 지문 전체를 통해 주제문을 찾고, 또 핵심 주제어를 찾아내는 것이 포인트다.

▶ ‘빈 칸 채우기’는 ‘말 바꾸기’
  ‘빈 칸 채우기’ 유형은 크게 봤을 때에는 ‘주제 찾기’지만, 좁게 보면 ‘말 바꾸기’라고 할 수 있다.
다음 글을 읽고, 빈 칸에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2001년 24번)
In an experiment on their behavior, baby monkeys were separated from their mothers at birth and provided with artificial mothers. Some of their artificial mothers were made of cold, hard wire while the others were made of warm, soft towel cloth. When given a choice between the two types of mothers, the monkeys repeatedly chose to spend their time with the towel cloth mothers. This experiment suggests that the baby monkeys looked for the________________ supplied by their contact with their towel cloth mothers.

① solidness      ② freedom       ③ patience       ④ comfort      ⑤ independence
위 지문은 “우리가 이런 실험을 했는데 .. 그런데 결과가 이렇게 나왔어..” 형식이다. 마지막 문장 This experiment suggests that ~부분이 실험 결과이다.

빈 칸에 들어갈 말은 ‘타월로 만든 엄마와 접촉하면 얻어지는 것“ 이다. 지문 다른 곳에서 ’타월 엄마‘의 특성을 파악한 후 말 바꾸기를 하면 답을 쉽게 얻을 수 있다.

두 번째  문장에서 made of warm, soft towel cloth라는 말이 나왔다. 따라서 이 문제의 핵심은 warm, soft towel - the comfort supplied by their contact with their towel cloth mothers.

바로 이것이다. warm & soft를 the comfort로 바꿀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순수한 주제 찾기 문제보다 빈 칸 채우기가 더 쉬울 수도 있다. 즉 지문 내에서 단서가 제공되기 때문이다.
빈 칸 채우기 문제는 선택지가 영어로 나오기 때문에 빈 칸 채우기를 어렵게 느끼는데 그럴 줄 알고 따로 정리와 같이 정리해보았다.

* 주목하세요 *
‘빈 칸 채우기’ 유형의 대부분은 ‘주제 찾기’ + ‘말 바꾸기’ 이다.

▶ 연결사 넣기
‘빈 칸 채우기’에는 연결사(접속사)를 물어보는 형태도 있다.

이 형태는 그냥 앞뒤 문장의 관계만 파악하면 답이 나올 거라고 쉽게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다. 그러나 단문 독해에 출제된 문제를 보면 그렇게 간단하지 않다.

단문 독해의 ‘빈 칸에 연결사 넣기’ 문제 역시 ‘주제 찾기’라고 생각하자.
자세한 내용은 기출 문제 풀이를 참고하고 지금은 다음 문제를 보자.
* So he turned the farmer into an ant. However, the farmer's character            . Like the farmer, the ant still went from field to field, storing up food for itself. (2001년 25번)
이 문제는 빈 칸에 연결사를 넣은 것은 아니다. 그렇다고 주제 차원의 문제도 아니다. 이 문제는 however가 풀이의 단서를 제공한다.

“바꾸어 놓았다. 그러나, 성격은           이다. 여전히 ~~이다.” 선택지가 없어도 유추가 가능하지 않은가?
선택지는 다음과 같다. 예상한 것이 다음에 있지 않은가?
① improved greatly        ② became more honest        
③ remained the same      ④ made the ant angry  
⑤ was fit for farming

지금 살펴본 문제는 직접 연결사를 넣는 형태는 아니지만, 답을 찾아내는 데에 있어 연결사가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 중요하지요 *
‘빈 칸 채우기 문제’ 유형에서는 지문 속의 연결사를 놓치지 말자



profile
엮인글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sort
공지 수능독해 강의차례(수능독해-유형) file [3] chanyi 14748 2006-02-06
공지 수능영문법 강의차례(수능영문법-유형) file [9] chanyi 13432 2006-02-05

수능영문법 17. stop + to V / -ing

  • chanyi
  • 조회 수 3733
  • 2006-02-05

17. stop + to V / -ing Pont stop + to V 목적의 의미(=in order to): ~하기 위해 하던 일을 중단 stip + -ing 완료의 의미(=quit, finish): 자체의 중단 Practice ․ Many people have stopped [smoking / to smoke] after they learned that smoking is a p...

수능영문법 18. help의 목적어와 목적보어

  • chanyi
  • 조회 수 5250
  • 2006-02-05

18. help의 목적어와 목적보어 Point 동사 help 뒤에 오는 동사는 형태가 to부정사나 원형부정사 둘 다 될 수 있으며 ‘~가 ~하는 것을 돕다’라는 뜻이다 help (목적어) + (to) 동사원형 : 도움을 주다 help + -ing : 피하다 Practice ․ Ocean coral will sure...

수능영문법 19. 지각동사의 목적보어

  • chanyi
  • 조회 수 4440
  • 2006-02-05

19. 지각동사의 목적보어 Point see, look at, watch, observe, notice, hear, listen to, overhear, smell, feel 등의 동사를 지각동사라고 하며 뒤에 목적어가 오고 그 뒤에 목적보어 자리에 원형부정사가 온다. 그런데 목적어와 목적보어의 관계가 수동이...

수능영문법 20. 사역동사의 목적보어

20. 사역동사의 목적보어 Point '목적어가 ~하도록 시킨다‘는 의미를 갖는 동사로 make와 have, let등이 있는데 이런 동사를 사역동사라 칭한다. 사역동사 뒤의 목적보어로는 부정사가 아닌 원형부정사를 써야 한다. 그런데 목적어와 목적보어의 관계가 수동...

수능영문법 21. take 관련형

21. take 관련형 Point take는 본래 ‘취하다/잡다’의 뜻에서 발전해서 ‘시간을 걸리게 하다/잡아먹다’의 뜻으로 쓰인다. 앞에 가주어 it이 나오면 뒤에 진주어로 to부정사를 써서 [it takes (시간) to부정사] 형식으로 쓰인다. [It] takes ~ [to V~] It took ...

수능영문법 22. Used 관련형

22. Used 관련형 Point be used to (동)명사: ~에 익숙하다. → 사람에 준하는 것만 주어로 사용된다. be used to V: ~하기 위해 사용되다. → 수동태이고 부정사는 목적 용법이다. be used for ~ing: ~하기위해 사용되다 → 드물게 이 형태도 사용된다. used to...

수능영문법 Chapter 4. 조동사 23. 조동사 have p.p.

Chapter 4. 조동사 23. 조동사 have p.p. Point 현재시점에서 과거의 내용을 추론하는 표현으로, 개연적인 경우 may(will) have+p.p. 필연적인 경우 must(can't) have+p.p.를 쓴다. should have + p.p 는 과거사실에 대한 후회, 유감을 뜻한다. Practice ․ Be...

수능영문법 조동사 정리

조동사 have p.p. 정리 (1) may be / may have + p.p ① It is possible that he is a thief. (그는 도둑일 가능성이 있다.) → He may be a thief. ② It is possible that he was a thief (last year). (그는 도둑이었을 가능성이 있다.) 과거를 써야 하는데 ...

수능영문법 Chapter 5. 시제- 배경지식

Chapter 5. 시제 시제 : 수능과 모의고사에 출제된 시제 전반적인 골격은 과거와 현재완료, 과거와 과거완료의 구분이다. 이를 정확히 구별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1. 과거 : 과거의 한 시점에서 일어난 모든 상황은 과거로 나타낸다. 예를 들면, ago, last...

수능영문법 24. 현재와 과거 혼동

24. 현재와 과거 혼동 Point 직업, 습관, 속성, 불변의 진리, 현재의 사실 등은 현재시제로 표시한다. 진행시제가 time limited(제한적/일시적)인데 반해 현재시제는 timeless(무제한)하다. ex) He always goes to the office by bus. (습관) He is going to ...

수능영문법 25. 과거와 현재완료 혼동

25. 과거와 현재완료 혼동 Point yesterday, last year, long ago, ago, when 등의 분명한 과거를 표현하는 부사(구)가 있으면 현재 완료시제를 쓰지 않는다. Since는 접속사 / 전치사 / 부사로 사용되며 접속사일때 since절 내에는 과거시제가 쓰이며, 전치...

수능영문법 26. 시간 / 조건의 부사절 file

  • Chanyi
  • 조회 수 4747
  • 2006-02-05

26. 시간 / 조건의 부사절 Point 시간/조건 부사절에서는 현재시제가 미래를, 현재완료 시제가 미래완료를 대신하다. 시간(when, after, as soon as) 부사절이나 조건(if, unless, as long as, as far as)부사절에서는 동사 자리에 단순 미래를 나타내는 will...

수능영문법 27. 대과거

27. 대과거 Point 1. 과거시점보다 더 이전 상황을 표현할 때 had p.p(과거완료)로 나타낸다. 2. 대과거란 과거의 또 과거‘란 뜻으로 영어에서는 kiss + ed = kissed가 과거이고, had + kissed가 대과거이다. Practice ․ Later, his wife learned that he [lo...

수능영문법 28. 가정법 과거

28. 가정법 과거 Point 현재 또는 장래에 있어서 실현 불가능(또는 실현 곤란)한 바람이나 현재의 사실에 반대되는 가정을 나타낸다. 형태 ① If 주어 + were 주어 + should/would 동사과거형 could/might + 동사원형 조동사 과거형 + 동사원형~ ② without / b...

수능영문법 29. 가정법 과거완료

29. 가정법 과거완료 Point 가정법 과거완료는 과거에 대해 사실이 아닌 조건을 걸기 위해 조건절에 had p.p.를 사용하고 귀결절에는 would / might / should have + p.p.를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Practice ․ If only I had stopped to think about it, I wo...

수능영문법 30. 명령형 가정법

30. 명령형 가정법 Point 명령문이 표현하는 명령, 요청, 가정, 제안, 충고 등의 표현과 관련해서 that절에 동사원형이나 should + 동사원형을 사용하는 것을 명령법과 관련이 있다는 점에서 명령 관련 가정법이라 칭한다. Practice ․ His doctor suggested t...

수능영문법 Chapter. 6 어순 일치 31. 간접의문문 어순

Chapter. 6 어순 일치 31. 간접의문문 어순 Point 의문문은 직접의문문과 간접의문문이 있다. ‘홀로 의문문’으로 쓰인 경우 이를 직접의문문이라 칭한다. 반면에 의문문이 다른 절의 명사 자리인 목적어, 주어, 전치사의 목적어 자리에 쓰이면 이를 간접의문...

수능영문법 32. 대명사 일치

32. 대명사 일치 Point 대명사 일치 문제는 격에 따른 대명사의 형태와 앞이나 뒤에 나온 명사와의 수의 일치가 주로 출제된다. every, each, any로 시작되는 부정대명사는 단수로 취급된다. Practice ․ Most 911 ambulances can arrive at the scene of an a...

수능영문법 33. 재귀목적어

33. 재귀목적어 Point 목적어의 정의를 동작의 대상이나 결과라 칭할 때, 주어와 목적어는 다른 것이 원칙이나 목적어가 주어와 동일한 대상인 경우 이를 재귀목적어(재귀대명사)라 칭하며 타동사 뒤에 ~self 형태로 표현된다. Practice ․ When you attempt t...

수능영문법 34. enough와 기타 주요 어순

34. enough와 기타 주요 어순 Point enough가 명사를 수식하는 형용사로 쓰일 때는 전치수식, 형용사나 부사를 꾸미는 부사로 쓰일 때는 후치수식으로 쓰인다. 형용사/부사 + enough to부정사 - 긍정 not 형용사/부사 + enough to부정사 - 부정 enough 명사 t...

본 사이트에서는 회원분들의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합니다. 게시된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자에게 있습니다. 이메일:chanyi@hanmail.net Copyright © 2001 - 2022 EnjoyEnglish.co.kr. All Right Reserved.
커뮤니티학생의방교사의 방일반영어진로와 진학영어회화